① 일반적인 프로그램의 형태
입력단계 -> 처리단계 -> 출력단계
②좋은 프로그래밍의 요소
좋은 프로그래밍은 크게 3가지를 요한다. 들여쓰기, 주석, 좋은 변수명이다.
이때 변수란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이다. 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변수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서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변수와 상수를 혼동해선 안된다. 변수는 실행 도중에 값을 변경할 수 있지만 상수는 한 번 값이 정해지면 변경이 불가하다.
변수와 키워드 (== 예약어)는 겹치면 실행이 불가하다.
③ 출력함수
printf() : 모니터에 출력을 하기 위한 표준 출력 라이브러리 함수. printf()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nclude <stdio.h> 가 꼭 있어야한다.
printf()에서 값을 출력하는 형식을 지정하는 것을 형식 지정자라고 한다. %d, %c, %f 등이 있으며 데이터 타입에 따라 알맞은 지정자를 넣어주어야 한다.
간단히 보면 아래와 같다.
형식지정자 | 의미 | 예시 |
%d | 정수를 10진수로 입력 | scanf("%d", &i); |
%f | float형의 실수로 입력 | scanf("%f", &f); |
%lf | double형의 실수로 입력 | scanf("%lf", &d); |
%c | 문자 형태로 입력 | scanf("%c", &ch); |
%s | 문자열 형태로 입력 | char s[10]; scanf("%s", s); |
'Programming Languag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chapter 02 : Self Review Exercise (0) | 2022.07.20 |
---|---|
[C] Week 4 : 연산자, if문 (0) | 2022.07.06 |
[C] Week 1 : 프로그래밍의 개념, 프로그램 작성 과정 (0) | 2022.07.04 |
[C] 따옴표(' ")와 퍼센트(%) 출력 방법 (0) | 2022.02.06 |
[C] 섭씨 화씨 변환 (심볼릭 상수 - 메크로 사용) (0) | 2022.02.06 |